메뉴 건너뛰기

커뮤니티 정보안내입니다.

환자를 가족처럼 진료/치료하는 관절척추 병원입니다.

허리디스크 수술과 비수술의 장단점이 궁금합니다.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윤선생님과 상의하세요! 

 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 

 
 

 


** 상태

 

 -  지방 작은 병원에서 CT 촬영 결과 -> 서울 큰병원에서 MRI 촬영 후 정확한 진단하에 수술을 해야 될 정도   라고 진단 받은 상태 입니다.

 

 -  허리에 통증이 있고 오른쪽 다리가 조금 저립니다. 그 때문인지 무의식 중에 걸음 걸이가 변했구요.

 

 -  통증은 운동은 못할 정도 입니다. 제자리에서 살짝 뛰어도 허리에 통증이 느껴 집니다.

 

 -  현재 사무직 근무 중인데, 조금 걸어다니다 보면 일상 생활은 할수 있을 정도 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[질문]

 

 

 

1. 아버지께서 젊으실때 허리 디스크 수술을 하신걸로 알고 있는데, 허리디스크도 유전적인 영향이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.

 

 

 

2. 수술(미세현미경), 비수술 방법이 있는데 비용적인 방법 말고 어떤 장단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. 특히 왜 수술은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만 하라고 권유를 하는 지가 궁금합니다. 휴유증이나, 수술 실패의 위험이 많은지요.

 

 

 

3. 만약 수술을 하게 될 경우, 현재 직장에 근무중이라 병가를 내야 되는데요, 일반적으로 얼마나 병가를 내야 되는지도 궁금합니다. 사무직으로 책상에 앉아서 일하고, 무거운거 드는 일은 없습니다.

 

 

 

4. 마지막으로 서울 마포구 상암, 서울 노원구 공릉이면 더 좋구요, 서울이면 어디든 상관 없습니다. 가능 하시면 병원 및 전문의 추천도 부탁 드립니다.
 



★ 안녕하세요. 하이닥-네이버 지식인 정형외과 상담의 윤성용입니다.

 


허리디스크(추간판탈출증)가 직접적인 유전인자의 영향이 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.

디스크의 통상적인 발병 원인이 일상생활의 부자연스러운 자세/행동/반복적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행위 등에서 원인을 많이 찾을 수가 있습니다.

 

비수술 방법에는 신경차단술/경피적 수핵감압술/내시경 절제술 등이 있습니다.

많은 시간을 소비하지 않고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과 상처를 안 낸다는 이점이 있습니다.

대신 수술 효과나 정확도 등에서는 수술 치료에 비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으며

재발율이 높다고 봐야 할 듯 합니다.

 

미세현미경 수술은 비교적 확실한 수술법의 하나로 휴유증이나 재발율이 적다 할 것 입니다.

미세현미경 수술을 택할 경우 적절한 시기에 숙련된 전문의에게 수술을 받는다면

휴유증이나 실패 걱정은 거의 안하셔도 될 듯 합니다.

 

미세현미경 수술의 경우 입원 기간은 3-7일 정도이며 복대는 1개월 정도 착용합니다.

수술 3-4주 후부터는 어느 정도 일상생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.

 

어떤 병원을 선택하기 보다는 어떤 숙련된 주치의를 만나느냐가 중요합니다.
 



 

문의에 도움이 되었기 바랍니다.
감사합니다. 
 

위로